티스토리 뷰

반응형

 

CJ CGV(079160) 기업 개요


본사는 1999년 CJ엔터테인먼트와 호주의 Village Cinema International PTY LTD 2개사의 합작법인인 CJ Village(주)로 설립되었으며, 고품질의 멀티플렉스 극장을 국내에 최초로 보급하고 단일관 위주의 상영 문화를 종합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으로 선진화시키는데 일조했습니다.


지속적인 출점으로 국내 영화관 시장점유율 1위를 수성하고 있으며, 중국, 베트남, 터키시장에서도 점유율 확대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영화 테마 : CJ그룹 계열의 CGV 멀티플렉스 영화관을 운영하는 국내 최대 멀티플렉스 사업자입니다. 영화상영을 통한 티켓판매, 매점판매, 광고판매, 위탁운영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메가박스, 롯데시네마와 함께 3사 중심의 경쟁구조 속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베트남, 터키 등에 멀티플렉스 자회사를 보유 중입니다.

 

CJ CGV 기업 개요

 


CJ CGV 실적 개요


본사의 최근 실적은 외형성장을 이룬 반면 영업이익은 시장의 예상치를 하회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한국 매출은 B/O 역신장에도 비상영매출 제고 효과로 이익을 방어한 반면, 중국과 터키의 실적 부진이 영업이익 하회의 주된 원인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은 9개점을 출점하면서 일회성 비용이 반영된 결과로 보여지며, 터키는 전년대비 적자폭을 줄였지만 시장관객수가 역신장하는 악조건에서 실적 개선까지는 힘들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20년 상반기 CJ CGV 주가 시세 전망


본사는 지난해 해외 자회사에 대한 외부 자본 유치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습니다.


기존에는 따로 보유하던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법인을 통합해 CGI 홀딩스를 재구성하고, 이 법인의 발행 신주를 MBK파트너스/미래에셋대우PE 컨소시엄에 배정하는 계약으로 절차가 마무리되었습니다.

 

중국법인 (출처 : CJ CGV)


이로 인해 자본 증가 및 순차입금 감소 효과가 발생했으며, 부채 비율은 전년대비 낮아졌습니다.

 

외자 유치의 목적은 재무구조 개선과 투자 재원 확보로 한국 CGV 차입금 상환 이후 통합 CGI에 유보된 나머지 금액도 향후 상당 부분이 해외 법인 차입금 상환에 쓰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공시된 조달 목적 두 가지 중 재무 개선에 보다 실질적인 무게 중심이 쏠린 것으로 보입니다.


즉, CJ CGV의 20년 상반기 주가 시세 전망은 통합법인 지분 매각에 따른 재무구조의 개선에 대한 기대감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년 상반기 CJ CGV 목표주가 시세 : 44,000원


본사의 금번 지분 매각은 외형 성장 대신 수익성 확보를 택한 첫 번째 의사 결정이라는 점에서 본사의 방향성 선회를 의미하며, 투자자들의 요구를 채워줄 수 있는 적절한 움직임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베트남법인 (출처 : CJ CGV)


글로벌 영화관 사업의 성장이 둔화에 직면한 상황에서, 최근 국내 판관비 통제와 함께 전사 금융비용 절감 노력을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


지분 매각은 본사가 택하는 투자 결정 중 하나이기에 이번 딜이 주가의 장기 방향성에 변수가 될 가능성은 충분해 보입니다.


따라서 20년 상반기 CJ CGV의 목표주가 시세는 44,000원 이상일 것으로 기대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