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두산밥캣이란? 기업 알아보기!
동사는 자산규모 2조원 이상의 대규모 법인으로 건설기계 생산 및 판매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R&D를 통한 제품혁신, 신흥시장 진출 등을 통하여 건설기계 및 Portable Power시장에서 Global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동사의 Compact 건설기계는 주택 건설, 농업, 조경 시장을 주요 타겟으로 삼고 있으며, heavy 건설기계 제품에 비해 경기에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지주사 테마 : 두산그룹 계열의 외국기업지배 지주회사로 북미, 오세아니아, 유럽,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지역 내에 종속회사를 두고 있습니다.


건설기계 테마 : 종속회사들을 통하여 건설기계(Compact 건설기계, Heavy 건설기계, Portable Power)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기타 투자정보 : 동사의 시가총액은 약 1조7천억원(코스피 94위)으로, 상장주식수는 약 1억주입니다. 외국인의 보유 주식 비율은 약 26%입니다.

 

두산밥캣 기업 개요


두산밥캣 실적은? 최근 실적 분석하기!

 

동사는 최근 견조한 수요와 성장세 호조로 시장의 기대치에 부합하는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선진국 북미 및 유럽에서 성장세를 지속했는데, 북미는 주택시장지수가 반등하고 인프라 및 상업용 건설지출이 증가하는 등 견조한 수요가 지속되었고, 유럽은 주요국의 렌탈장비 교체주기 도래 및 동유럽 시장의 성장 등으로 호조세를 보였습니다.

 

연간 매출과 이익이 성장하며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수익성이 높은 북미지역에서 매출이 증가하고 유럽지역의 비용통제 효과가 반영되면서 이익이 전년동기와 비슷하게 높은 수준을 기록하며 양호한 실적을 시현하는데 기여했습니다.



 

두산밥캣 향후 전망은?
20년 상반기 주가 전망 확인하기!


동사의 20년 상반기 주가 전망은 유럽에서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에 있습니다.


두산밥캣은 본사를 한국 서울에 두고 있습니다.


유럽과 중동 그리고 아프리카 지역을 총괄하는 EMEA 본부는 체코 도브리스에 소재하고 있으며, 동사가 체코에 EMEA 본부를 두고 공장을 운영하는 이유는 과거 잉거솔랜드가 도브리스에 공장을 신축하였기 때문입니다.

* EMEA : Europe, Middle East, and Africa.

 

체코 도브리스 사업장(출처 : 두산밥캣)


당시 이 지역의 인건비는 한국대비 1/3로 낮았고, 현재도 1/2 수준에 불과하며 약 25년동안 공장이 가동되면서 숙련된 인력들을 대거 보유하고 있습니다.


체코 도브리스 공장는 EMEA의 핵심 생산설비로 현재 MEX, SSL, CTL 등을 연간 2만대 이상 생산하고 있으며, 큰 시설투자 없이 2.9만대까지는 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환경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공장 인근의 장소를 제품 및 자재 창고로 활용하면서 추가적인 생산능력 확보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현재 동사가 구축하고 있는 딜러 네트워크는 북미 755개, EMEA 217개로 EMEA 딜러 중 동사의 제품만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곳은 176개입니다.


향후 EMEA 본부는 잘 갖춰진 딜러 네트워크와 주요 경쟁력 강화 노력을 통해 동사의 수익성 개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합니다.


즉, 두산밥캣의 20년 상반기 주가 전망은 EMEA의 성장세에 달려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두산밥캣 향후 목표주가는?
20년 상반기 목표주가 산출하기!


동사의 20년 상반기 목표주가는 35,000원 이상으로, 반기 내 상한가 달성을 기원합니다.


두산밥캣은 주요 시장에서 신제품 출시를 통한 라인업 확대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동사의 매출은 70% 이상이 북미에서 창출되며, 미국 노스다코다주에 R&D센터와 공장 등의 주요 시설들이 대거 포진되어 있습니다.

 

컴팩트 트랙 로더(출처 : 두산밥캣)


현재 북미 시장에서는 CT(Compact Tractor: 농기계용 트랙터) 출시를 통해 트랙터부문 시장점유율 5%(연 17만대 규모)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대동공업과의 공동개발 및 OEM을 통한 미국 수출도 예정되어 있습니다.


특히, 미국 농기계시장에 진출하게 되면 소형 건설장비와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 그동안 부족했던 미국 남서부 딜러망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에 따라, 20년 상반기 두산밥캣의 목표주가는 35,000원 이상으로 산출하며, 향후 의미있는 모멘텀과 함께 강력한 상한가 한 방 터져주길 기대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