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생활정보

건강보험료 계산하기

스윗잼 2021. 1. 21. 18:30
반응형

 

우리가 직장에서 월급을 받거나 개인사업으로 수익을 얻는 등 일을 통해 소득활동을 하고 있는 경우 의무적으로 다양한 보험에 가입이 되면서 매달 일정 금액의 보험료를 납부하게 되는데요.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4대보험 중 건강보험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사회보장제도 중 하나로 매달 일정 금액의 보험료를 내고 필요할 경우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진료에 한해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건강보험은 내가 직장을 다니고 있을 경우 원천징수로 납부를 하게 되므로 평소에는 크게 신경쓰이지 않지만 퇴사 등 여러가지 사유로 인해 지역가입자로 전환되었을 경우에는 매달 납부해야하는 보험료가 다소 부담스럽게 느껴질 수도 있는데요.

 

따라서 오늘은 내가 납부해야 할 금액을 미리 확인하고 여유롭게 대처할 수 있도록 나의 건강보험료 계산하기 방법을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건강보험료 계산하기


건강보험은 가입자의 상황에 따라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요.


회사에 다니는 직장가입자와 직장가입자에게 생계를 의존하는 피부양자, 그리고 직장가입자와 피부양자를 제외한 지역가입자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건강보험은 소득에 비례하는 일정 금액의 보험료를 납부하고 모두가 동등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요.


다만, 지역가입자의 경우에는 소득기준과 재산, 자동차 등의 점수를 합산하여 건강보험료를 계산하기 때문에 과정이 다소 복잡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해야하는 건강보험료를 내가 직접 계산해 내는것은 결코 쉽지 않은 일인데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고 있는 ‘모의계산 서비스’를 이용하시면 누구나 간편하게 나의 건강보험료 계산하기를 해낼 수 있습니다.


나의 건강보험료를 계산하기 위해 우선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nhis.or.kr/

 

국민건강보험 공단 홈페이지에서 건강보험료 계산하기 서비스를 이용하시려면 화면 중앙에 있는 ‘방문자별 맞춤 메뉴’에서 ‘보험료 계산기’를 클릭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화면에서는 내 건강보험료 확인하기와 4대보험료 계산하기 메뉴가 나오는데요.


지역보험료 모의계산하기, 직장보험료 모의계산하기, 임의보험료 모의계산하기 중 사용하고 싶은 서비스를 클릭해 주시면 됩니다.

 


4대보험료 계산하기 화면에서는 건강보험료 계산하기 외에도 국민연금보험료와 고용보험료, 산재보험료까지 모두 모의로 계산해 볼 수 있으니 필요하신 경우 참고해 주세요.

 

만약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가 얼마나 나오는지 계산하고 싶으시다면 ‘지역보험료 모의계산하기’ 페이지로 이동하신 후 하단의 안내에 따라 세대주 국적을 선택하시고 소득금액(연소득 기준)과 재산금액(주택, 건물, 토지, 선발, 항공기 등 과세표준액 기준)을 입력해 주시면 되는데요.

 

 

소득금액은 사업, 이자, 배당, 기타소득 등으로 획득한 금액은 모두 사업소득으로 입력하시고 연금을 받고 계시거나 직장에서 월급을 받고 계시다면 연금소득 및 근로소득도 따로 입력해 주셔야 합니다.

 

 

재산금액은 공시가격이나 시가 등이 아닌 과세표준액을 기준으로 입력해 주셔야 하는데요.

 


재산을 공시가격, 시가 등으로 입력할 경우에는 부정확한 금액이 계산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자동차의 보유 여부를 등록하시면 되는데요.

 

현재 보유 중인 자동차의 최초등록일과 차종 및 배기량, 제조구문, 최초 출고가액 등을 차례대로 입력한 후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건강보험료 계산하기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보유 중인 자동차가 1대 이상이시라면 ‘추가’ 버튼을 눌러 입력칸을 추가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료 계산하기가 완료되었다면 이제 나의 예상 지역보험료를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각 항목별 점수와 그에 따른 합산 금액을 한눈에 정리해서 확인할 수 있으니 잘못 입력된 부분은 없는지 꼼꼼하게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회사에 다니던 직장가입자때와는 다르게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는 납부 금액이 아무래도 느낌이 다르게 다가올텐데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료 계산하기 서비스는 보유 재산 내역을 최대한 정확하게 입력하셔야 실제 금액과 가까운 건강보험료 계산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모의계산 결과는 말 그대로 예상되는 보험료일 뿐이기에 실제 금액과는 다소 차이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이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료 계산하기 서비스로 내가 납부해야 할 금액을 미리 확인하시고 모두 여유롭게 대처하시길 바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익스플로러 11 다운로드  (0) 2021.02.01
카카오번역 사용하기  (0) 2021.01.29
무릎통증 원인 및 치료 방법  (0) 2021.01.18
앞니 임플란트 가격 및 치료기간  (0) 2020.12.06
발기부전 치료방법  (2) 2020.11.22

댓글